728x90
반응형
1세대 코인 : 금융거래(은행.정부 통제를 벗어난 화폐)
비트코인 - 정부가 통제하지 못하는 화폐를 목표로 탄생
돈을 주고받은 사람, 주고받은 돈의 액수 등 거래 내역이 블록마다 기록됨. 이 거래 장부는 위조하거나 변경할 수 없음. 블록 생성에 참여한 모든 참여자가 거래 장부를 공유하기 때문.
(도지코인, 리플, 비트코인캐시, 라이트코인, 모네로)
2세대 코인(화폐 넘어 모든 거래 기록)
이더리움 - 스마트 컨트랙 기능을 통하여 2세대 코인의 타이틀을 따냄. 개발자가 원하는 대로 코인을 프로그래밍 할 수 있게 된 것이 핵심! 비트코인을 거래장부라고 한다면 이더리움은 무지 노트! 돈뿐 아니라 어떤 형태의 거래도 기록할 수 있다. 부동산, 자동차, 콘텐츠, 게임 아이템 거래 내역까지 기록할 수 있다. 신원을 증명하거나, 의료 데이터를 적어서 넣는것 까지 모든 형태의 기록이 가능하다.
이더리움 디앱 (디앱 -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만든 애플리케이션)
이더리움 토큰 : 디앱
유니스왑(금융)
세타(콘텐츠)
파일코인(클라우드)
3세대 코인(플랫폼 코인)
이더리움의 문제점으로 탄생.
이더리움의 문제점
1. 너무 느린 처리 속도 2. 비싼 수수료 3. 블록체인 간 상호 연결이 어려움.
플랫폼 코인 형식
(에이다, 폴카닷, 솔라나, 트론, 이오스, 알고랜드)
728x90
반응형